기록에서 나타나는 광해군은 나름대로 대외관계에 대한 우환의식이 있었고, 전란을 피할 수 있게끔 국력을 키워야 한다는 생각도 지니고는 있었어요. 당시 대부분의 조선 지식인들은 (심지어 실학의 비조라고 하는 유형원조차도!) 점차 파괴되어 가던 명ㆍ조선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가 완벽하게 복구되기를-즉 누르하치 세력이 과거의 이만주나 니탕개처럼 완전히 일소되기를-원했지만, 광해군은 조선에게 그럴 힘이 없다고 간주하면서 '고려의 경험을 되살려서' 전쟁을 피할 것을 지향했지요. 물론 그가 만주-후금이 명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를 대체할만큼의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는지, 아니면 후금과 명이 고려시대의 금과 남송의 관계를 재현하리라고 보았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말입니다.
광해군에게는, 설령 그것이 정말로 '중립외교'같은 거창한 다른 무언가였는지는 논외로 하더라도, 최소한 '후금을 막아낼 만큼의 국력을 키워서 전란이 조선 땅에 미치는 것만큼은 피해보자(그 다음은 후금에 대한 복종? 또는 후금과 명의 양분된 질서에서의 자립?)'는 생각 정도는 있었던 듯 싶습니다. 일국의 군주가 그런 비전을 지니는 것은 '역사화'의 문제를 떠나서 충분히 정당성을 지닐 수 있겠죠. 당시 조선의 입장에서야 최상의 목표는 역시 '국력을 키워서 명나라와 함께 후금의 흥기를 적극적으로 저지하는 것'이었겠지만 말입니다. 그게 어렵다고 판단해서 차선책으로 단계를 낮추는 것? 충분히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었을 겁니다.
실제로 광해군은 대외정세의 변화에 신경을 쏟고 나름대로 군사력 강화에 관심을 보이면서도, 바로 그 군사력 강화의 근간이 될 민생의 안정에는 소극적이거나 오히려 그것을 가로막을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을 실시하는 모습을 보이죠. 그런 점에서 볼 때, 광해군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내치와 외정이 서로 따로 노는 사안이 아니라 상당히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사안이라는 점을 잘 깨닫지 못했다는 것, 또는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외면한 채 외정에서의 자신의 비전을 스스로 이루지 못하게 할 그런 방향으로 폭주해갔다는 것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를 '혼군'이고 '암군'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면 아마 그런 이유도 포함해서겠죠.
사대부들에게 '큰소리만 치지 말고 고려처럼 처신하자'고 이야기하면서도 미신에 집착한 탓 등등의 이유로 왕권강화정책 중 가장 하수라고밖에 할 수 없을 궁궐공사로 국력을 거하게 탕진해버리고, 대동법에 대한 반대와 거부로 세금제도 개혁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면서 민력을 축적할 시간도 제대로 확보해내지 못하고, 자신을 지지하던 사람들이나 지지할 수도 있었던 사람들을 날려버리면서 결국 이이첨 같은 사람에게 기댔지만, 정작 그 이이첨조차도 최후의 최후까지 믿지 못했고. 이런 행적들이 결국 대외정책 부문에 있어서 나름대로 지니고 있었던 비전과 그에 기반한 나름의 노력들을, 사실은 그저 자신의 뜻대로 정국이 운영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불평불만 내지는 위선에 불과한 것 아니었냐는 의심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긴 이 정도로 뒤틀려버린 비전을 과연 '비전'이라고 불러줄 수는 있을지도 좀 의문이기는 하지만요.
'일상.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플스토리2 레인저 레벨별 맵사냥터 추천 (0) | 2015.07.13 |
---|---|
메이플스토리2 직업순위 정리해봤습니다 ! (1) | 2015.07.13 |
선조-광해군-인조-소현세자-효종 (0) | 2015.07.09 |
보통 그런 거 방지하려고 동기동창들 연락하는데.... (0) | 2015.06.06 |
제가 전에 그랬어요. (0) | 2015.06.06 |